티스토리 뷰
반응형
2025년, 인천 송도에서 역사적인 APEC 디지털·AI 장관회의가 처음으로 개최됐습니다. 미국, 중국, 일본 등 세계 AI 강국들이 한자리에 모여 디지털 혁신과 협력의 방향을 논의하며, 우리나라가 아시아태평양 디지털 허브로서 입지를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
📍 회의 개요 및 주요 참석국
- 일시/장소: 2025년 8월 4일, 인천 송도컨벤시아
- 주최/주관: 과학기술정보통신부 / APEC
- 참석: APEC 21개 회원국(미국, 중국, 일본 등 포함), 국제기구, 민간 기업
- 의장: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
🔹 3대 핵심 의제 정리
1. ICT·디지털·AI 혁신 활성화
- 생산성 향상, 사회적 과제 해결 위한 AI 혁신 방안 논의
- 각국 AI 정책 및 혁신 사례 공유
2. 디지털 연결성 확대
-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역량 강화 방안
- 클라우드·차세대 통신 인프라 투자 필요성 강조
3. 안전한 디지털 생태계 조성
- 딥페이크, 허위정보 등 디지털 위협 대응 논의
- 신뢰 기반 생태계 구축 위한 국제협력 중요성 확인
🌐 장관선언문 채택, 그 의미는?
이번 회의의 주요 성과는 바로 APEC 장관선언문 채택입니다. 이 선언문은 AI·디지털 협력의 공동 비전을 담고 있으며, 향후 APEC 차원의 구체적 협력 방안 마련에 기준점이 됩니다. 특히 미·중 등 AI 선도국이 정책 방향에 합의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.
📊 디지털 위크(Digital Week) 동시 개최
회의와 연계해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디지털 위크가 진행 중입니다. 이 행사에서는 AI·전파·브로드밴드 등 다양한 주제로 워크숍이 열리고, 민간기업과 정부 간 활발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.
- 주요 참가 기업: KT, 마이크로소프트, 메디아크, 닷, SCE 코리아 등
- 핵심 주제: AI 활용 사례, 디지털 격차 해소, 전파 정책의 미래
💬 앞으로의 전망
과기정통부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글로벌 디지털·AI 포럼을 개최하고, 민·관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. 세계은행과 공동 주최하는 이 포럼에서는 글로벌 기업 전시회도 함께 열려 AI 기반 혁신 기술을 공유하게 됩니다.
📢 한마디로 정리하면?
“APEC 디지털·AI 장관회의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협력의 중심국가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. 앞으로 더욱 활발한 정책 추진과 국제 협력이 기대됩니다!”
반응형
반응형